최근 들어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을 필요로 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식품업, 유흥업, 보육시설 종사자 등 법적으로 보건증 제출이 요구되는 직종에서는 필수적인 서류입니다.
과거에는 보건소를 직접 방문해야 했지만, 이제는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 정부24를 통해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보건증 인터넷 발급 3가지 방법을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E-보건소를 통한 보건증 인터넷 발급
E-보건소는 전국 보건기관의 온라인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플랫폼입니다. 보건증뿐만 아니라 예방접종 증명서, 진료 내역 조회 등 다양한 보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보건소에서 보건증 발급하는 방법
- E-보건소 홈페이지 접속
- 인터넷 검색창에 E-보건소를 입력 후 공식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온라인 민원 서비스 선택
- 상단 메뉴에서 ‘온라인 민원 서비스’ 클릭
- 온라인 제증명 발급 신청 클릭
- ‘온라인 제증명 발급 신청’ 메뉴에서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선택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 체크 후 다음 단계로 이동
- 본인 인증 진행
-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아이핀(I-PIN), 휴대폰 인증 중 선택하여 본인 인증 수행
- 건강진단결과서 발급 신청
- 발급 대상자 정보 입력 → 수령 방법 선택 → 발급 신청 완료
- 보건증 출력
- 발급이 완료되면 PDF 파일로 저장하거나 직접 프린터로 출력
✅ E-보건소 장점
- 빠르고 간편한 온라인 발급 가능
- 보건소 방문 없이 즉시 출력 가능
- 예방접종 증명서 등 다른 보건 관련 서비스도 함께 이용 가능

2. 공공보건포털을 통한 보건증 인터넷 발급
공공보건포털은 정부가 운영하는 보건 관련 종합 포털로, 다양한 보건 민원 서비스와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공공보건포털에서 보건증 발급하는 방법
- 공공보건포털 접속 후 로그인
- 인터넷 검색창에 공공보건포털 입력 후 접속하기

- 본인 인증 진행
- 공동인증서, 아이핀, 휴대폰 인증 등을 활용해 본인 인증 수행
- 건강진단결과서 발급 내역 확인
- 본인 인증 후 과거 발급된 보건증 내역 조회 가능
- 보건소 명 확인 및 출력 설정
- 발급받은 보건소를 확인하고 주민등록번호 표시 여부, 용도 설정
- 보건증 출력
- PDF 저장 또는 프린터로 출력
✅ 공공보건포털 장점
- 보건소에서 직접 발급받은 기록을 쉽게 확인 가능
- 기존 발급 내역 조회 가능
- 다른 보건 관련 민원 서비스와 함께 이용 가능

3. 정부24를 통한 보건증 인터넷 발급
**정부24 홈페이지는 다양한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 대표 포털입니다. 이곳에서도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24에서 보건증 발급하는 방법
- 정부24 홈페이지 접속
- 인터넷 검색창에서 정부24 입력 후 공식 홈페이지 방문

- 로그인 후 보건증 검색
- 상단 검색창에 보건증 또는 건강진단결과서 입력 후 검색
- 보건증 발급 메뉴 선택
- 검색 결과에서 ‘건강진단결과서 발급’ 선택
- 본인 인증 진행
- 공동인증서, 아이핀, 휴대폰 인증 등을 활용해 본인 인증 수행
- 접수번호 확인 후 용도 설정
- 발급 가능한 보건증 내역 확인 후 용도 설정
- 보건증 출력
- PDF 파일 저장 후 출력 가능
✅ 정부24 장점
- 보건증 외에도 다양한 공공 민원서류를 한곳에서 발급 가능
-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등 다른 서류도 함께 출력 가능

보건증 인터넷 발급 시 유의사항
✅ 보건증 발급 가능 조건
- 보건증 발급을 위해 사전에 보건소에서 건강검진을 완료해야 함
- 건강검진 후 7일~10일 정도의 처리 기간이 필요할 수 있음
✅ 출력된 보건증의 법적 효력
- 온라인으로 발급받아 출력한 보건증도 원본과 동일한 효력을 가짐
- 단, 일부 기관에서는 원본을 요구할 수 있으므로 필요 시 확인 필요
✅ 보건증 유효기간
-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의 유효기간은 업종에 따라 6개월 ~ 1년
- 식품업 및 유흥업 종사자는 1년마다 재발급 필수
보건증 인터넷 발급, 이렇게 하면 쉽다!
보건증을 인터넷으로 발급받으면 보건소 방문 없이 간편하게 출력할 수 있습니다.
✔ 빠르고 간편한 발급을 원한다면? → E-보건소
✔ 기존 보건증 발급 내역까지 조회하고 싶다면? → 공공보건포털
✔ 다른 정부 민원서류도 함께 발급받고 싶다면? → 정부24
상황에 맞게 위 3가지 방법 중 편리한 방법을 선택해 보세요. 생각보다 간단하게 발급할 수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꼭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