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영된 MBC 예능 프로그램 ‘푹 쉬면 다행이야’ 36회에서는 별칭이 ‘급식 대가’라고 불릴 만큼 요리 내공이 깊은 분이 등장해 직접 대구탕과 해물 무 솥밥을 선보였습니다. 여러 연예인과 게스트가 바쁜 일상을 잠시 내려놓고 자연 속에서 음식을 만들어 먹는 콘셉트가 인상적인데요. 이번 화에서는 뽀얗고 시원한 대구탕과 바다 향이 듬뿍 깃든 해물 무 솥밥이 소개되면서, 시청자들의 군침을 제대로 자극했습니다.


오늘은 그 레시피를 간단히 정리해 보고, 집에서도 손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요리 팁을 보충해 보려고 합니다. 대구탕을 사랑하시는 분들은 물론, 포슬포슬한 무와 짭조름한 해물이 어우러진 솥밥에 관심 있으신 분들도 주목해 주세요.
따뜻하고 시원한 대구탕 레시피
프로그램에서 급식 대가가 선보인 대구탕은 얼큰함보다는 맑은 국물에 가까운 스타일로, 대구 특유의 담백한 맛을 최대한 끌어낸 것이 특징입니다. 물론 고춧가루를 약간 넣어 칼칼함을 추가했지만, 조미료에 의존하기보다는 신선한 재료의 자연스러운 감칠맛을 살리는 방식이 돋보였죠.

먼저, 육수 베이스로 쓰일 육수를 준비해야 합니다. 멸치를 미리 볶아 비린내를 제거한 뒤 물을 부어 오래 끓이면 멸치육수가 완성됩니다. 취향에 따라 다시마나 건새우 등을 더해 깊은 맛을 내도 좋습니다. 여기에 마늘을 넣어 은은한 풍미를 더해 주세요.
대구는 비늘과 내장, 지느러미, 머리 등을 제거해 손질합니다. 혹시 곤이가 함께 들어 있다면 곤이도 깨끗이 씻어 주어야 비린내가 나지 않습니다. 손질한 대구살과 곤이를 끓는 육수에 넣어 주되, 맛술을 한 숟갈 정도 둘러 잡내를 잡아주세요. 소금과 참치 액젓으로 간을 맞추되, 과하게 짜지 않도록 조금씩 간을 보면서 넣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무는 얇게 썰어서 국물에 넣으면 대구살과 함께 익으면서 뽀얗고 시원한 국물 맛을 내줍니다. 또, 완성 직전에 고춧가루를 기호에 맞춰 넣으면 살짝 칼칼한 맛이 더해지니, 맵기를 조절해 보시길 권장해요.
콩나물이나 양파, 대파, 홍고추 등 각종 채소도 넣어 색감과 영양을 잡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미나리와 쑥갓을 얹어주면 향긋함이 배가되고, 대구탕의 완성도가 한결 업그레이드됩니다. 여기에 뚝배기나 넉넉한 냄비에 푹 끓이면, 추운 날씨든 더운 날씨든 시원하게 즐길 수 있는 생대구탕이 탄생합니다.




맛을 배가하는 팁
- 곤이가 들어 있다면, 탕에 담백함과 고소함이 배가됩니다. 곤이는 살짝 데쳤다가 넣으면 더 깔끔한 맛을 낼 수 있습니다.
- 맛술이 없다면 소주나 청주로 대체 가능하나, 소량만 사용하세요.
- 멸치육수를 끓일 때 다시마를 넣어주면 감칠맛이 훨씬 풍부해집니다. 단, 다시마는 끓는 시간이 너무 길면 쓴맛이 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시점에 건져 내세요.




바다향 가득 해물 무 솥밥 레시피
두 번째로 소개된 해물 무 솥밥은 미리 삶아 둔 백합 등의 해물과 제철 무를 사용해 감칠맛을 높였습니다. 해물과 채소가 고슬고슬한 쌀 위에서 함께 익어, 한 끼 식사로 제격인 만능 메뉴죠. 여기에 곁들일 양념장까지 곁들이면 집에서도 손쉽게 “맛집” 부럽지 않은 솥밥 한 상을 차릴 수 있습니다.


먼저 해물 준비부
터 시작합니다. 방송에서는 백합을 활용했지만, 조개류 외에도 홍합이나 바지락처럼 취향껏 선택 가능합니다. 백합을 깨끗하게 씻은 뒤 물에 살짝 끓여 내어, 조개살만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 두세요.
쌀을 씻어 물에 잠깐 불려 둔 뒤, 밥솥이나 솥에 담아 준비합니다. 불린 쌀 위에 썰어 둔 조개 살을 골고루 얹어 주세요. 밥물은 평소 밥을 지을 때보다 약간 적은 양으로 잡는 게 좋습니다. 조개 등에서 나온 육즙이 추가로 흘러 나오기 때문에, 물 양을 너무 많이 잡으면 밥이 질어질 수 있거든요.



겨울 무나 달큰한 무를 채 썰어 쌀 위에 얹으면, 무가 밥과 함께 익으면서 고소한 향과 단맛을 배가시킵니다. 무가 제법 넉넉하게 들어가야 전체 밸런스가 좋으니, 조금 듬뿍 넣어보시는 걸 권장합니다. 뚜껑을 덮고 불 조절을 하면서 차근차근 지으면, 해물과 무가 조화로운 솥밥이 완성됩니다.

밥맛 살리는 팁
- 해물 특유의 비린내가 걱정된다면, 조개류 삶을 때 청주나 맛술을 조금 넣어 잡내를 제거하세요.
- 무를 두껍지 않게 채 썰어야 밥과 동시에 부드럽게 익습니다.
- 솥밥을 다 지은 뒤에는 바로 뚜껑을 열지 말고 5분 정도 뜸을 들여 쌀알과 무, 해물의 맛이 한층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합니다.
곁들여 먹으면 환상적인 솥밥 양념장 레시피
솥밥에 양념장이 빠지면 섭섭하겠죠. 급식 대가는 간장에 양파와 고춧가루, 마늘, 액젓 등 여러 재료를 더해 깊은 맛을 내는 양념을 만들었습니다. 이 양념장이야말로 밥 한 숟가락에 꿀맛을 선물해 주는 핵심입니다.





- 진간장에 통깨를 듬뿍 넣어 고소한 맛을 더하고,
- 곱게 다진 마늘을 넣어 알싸한 풍미를 살리며,
- 액젓을 한두 숟가락 넣어 감칠맛을 올립니다. (과하게 넣으면 짤 수 있으니 주의)
- 고춧가루로 매운 기운을 보충하고,
- 양파를 곱게 갈아서 단맛을 자연스럽게 채워 줍니다.
- 마지막으로 쪽파 등 파 종류를 잘게 썰어 넣으면, 비주얼도 예쁘고 향도 더욱 향긋해집니다.
이 양념장은 해물 솥밥뿐 아니라, 다른 비빔밥이나 찐계란, 육류 요리에도 곁들일 수 있어 활용도가 높습니다. 조금 넉넉히 만들어 냉장고에 보관해 두면, 일주일 정도는 간단히 꺼내 먹기 좋습니다.
정리 및 응용
- 대구탕은 뽀얗고 담백한 맛을, 해물 무 솥밥은 바다향과 달큰한 무의 조화를 즐길 수 있는 메뉴입니다.
- 각각의 요리 과정을 어렵게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재료 손질만 깔끔히 한다면 의외로 간단하게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 양념장까지 곁들이면 밥과 반찬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아도 훌륭한 한 상이 되니, 나들이나 손님 접대 메뉴로도 손색이 없습니다.
혹시 집에서 직접 대구탕과 해물 솥밥을 만들면서 겪은 시행착오나 꿀팁이 있으신가요? 방송 레시피에 나오는 방법을 약간 변형해 보셨다면, 그 후기도 무척 궁금합니다. 어떤 방법이든 맛있게 만들어 먹으면 그것이 곧 완벽한 레시피 아니겠습니까? 댓글을 통해 경험을 공유해 주시면 다른 분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이 글은 MBC ‘푹 쉬면 다행이야’ 36회 방송 내용과 추가 온라인 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것으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실제 요리 시 재료나 양념 양은 개인 기호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적절히 조절해 가면서 조리하시기 바랍니다.